본문 바로가기
오답노트/PYTHON_2차

(16번) .append() -- 리스트 함수들

by 쿙이콩 2025. 6. 17.
728x90

16. x만큼 간격이 있는 n개의 숫자

문제 함수 solution은 정수 x와 자연수 n을 입력 받아, x부터 시작해 x씩 증가하는 숫자를 n개 지니는 리스트를 리턴해야 합니다. 다음 제한 조건을 보고, 조건을 만족하는 함수, solution을 완성

제한사항 

x는 -10000000 이상, 10000000 이하인 정수

n은 1000 이하인 자연수

16-1. for문

def solution(x, n):
    answer = []
    for i in range(1, n+1):
        answer.append(x * i)
    return answer

오답1) x * i 만 차곡차곡 넣으면 됨 (처음엔 x *= i 를 해서 x에 새로운 값 대입+곱하기를 해버림)2) 바로 append하면 됨

 

16-2. 리스트 컴프리헨션

def solution(x, n):
	return [x * i for i in range(1, n+1)]

참고

answer가 리스트 형식이므로 [ ] 추가

 

★ append()

아래에 보다시피 pop을 제외하곤 다들 리스트를 처리해줄 뿐, 실제로 반환하려면 a를 입력해야 함

리스트 관련 함수
a = [ 1, 2, 3 ]
a.append(4)
a >>  [ 1, 2, 3, 4 ]

a.append( [5, 6] )
a >>  [ 1, 2, 3, 4, [5, 6] ]
.APPEND
리스트의 맨 마지막에 값 추가
리스트에 다시 리스트 추가도 가능
a = [ 1, 3, 4, 2 ]
a.sort()
a >> [ 1, 2, 3, 4 ]

a = [ 'b', 'c', 'a' ]
a.sort()
a >> [ 'a', 'b', 'c' ] 
.SORT
순서대로 정렬
알파벳 순서 정렬도 가능

.SORT(REVERSE = TRUE)
리스트 값 내림차순 정렬
a = [ 1, 3, 4, 2 ]
a.reverse()
a >> [ 2, 4, 3, 1 ]

a = [ 'b', 'c', 'a' ]
a.reverse()
a >> [ 'a', 'c', 'b' ] 
.REVERSE
역순으로 뒤집어 줌
주의) 순서대로 정렬 후 다시 역순 정렬이 아니라 그냥 현재 리스트 그대로 거꾸로 반환

a = [1, 2, 3]
a.index(3)
>> 2
a.index(1)
>> 0
.INDEX
값이 어디에 있는지 위치를 알려줌
a = [1, 2, 3]
a.insert(0, 4)
a
>> [4, 1, 2, 3]
.INSERT
insert(a, b)는 리스트의 a번째 위치에 b를 삽입
참고) 파이썬은 숫자를 0부터 센다
a = [1, 2, 3, 1, 2, 3]
a.remove(3)
a
>> [1, 2, 1, 2, 3]
.REMOVE(x)
값 x을 제거. 근데 예시처럼 3이 두 개인 경우, 첫 번째 3만 제거
a = [1, 2, 3]
a.pop()
>> 3
a
>> [1, 2]

>>> a = [1, 2, 3]
>>> a.pop(1)
2
>>> a
[1, 3]

.POP
맨 마지막 요소를 리턴하고 그 요소는 삭제

.POP(x) -- 자리임
x번째
 요소를 리턴하고 그 요소는 삭제
a = [1, 2, 3, 1]
a.count(1)
>> 2
.COUNT(x)
x가 몇 개 있는지 카운트해서 개수를 알려줌
a = [1, 2, 3]
a.extend([4, 5])
a
>> [1, 2, 3, 4, 5]

b = [6, 7]
a.extend(b)
a
>> [1, 2, 3, 4, 5, 6, 7]
.EXTEND(리스트)
리스만 올 수 있음

리스트에 리스트를 합칠 때 사용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