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1. 변수 선언
자료형 : 숫자형 / Bool형
a = 5
b = 2
print(a//b) # 몫 2
print(a%b) # 나머지 1
print(a**b) # 거듭제곱 25
2. 문자열
추출하기
print(name.split('문자'))
phone = '02-1234-5678'
# 지역번호 02 출력하기
print(phone.split('-')) #(중요).split를 활용
# ['02', '1234', '5678']
print(phone.split('-')[0])
# 02
3. 리스트 & 딕셔너리
리스트[] 딕셔너리{'A':'aaa','B':'bbb'} 조합
띄어쓰기
추출하기:
- 리스트[0,1,2]
- 딕셔너리['항목']['항목']
people = [
{'name': 'bob', 'age': 20, 'score':{'math':90,'science':70}},
{'name': 'carry', 'age': 38, 'score':{'math':40,'science':72}},
{'name': 'smith', 'age': 28, 'score':{'math':80,'science':90}},
{'name': 'john', 'age': 34, 'score':{'math':75,'science':100}}
] # 띄어쓰기
# smith의 science 점수 출력
print(people)
# 리스트 안에 여러 딕셔너리가 있음
# [{'name': 'bob', 'age': 20, 'score': {'math': 90, 'science': 70}}, {'name': 'carry', 'age': 38, 'score': {'math': 40, 'science': 72}}, {'name': 'smith', 'age': 28, 'score': {'math': 80, 'science': 90}}, {'name': 'john', 'age': 34, 'score': {'math': 75, 'science': 100}}]
print(people[2])
# smith는 리스트 중 세번째[2]
# {'name': 'smith', 'age': 28, 'score': {'math': 80, 'science': 90}}
print(people[2]['score'])
# science는 score에 있음
# 앞에 리스트는 [0,1,2]로 추출했지만! 딕셔너리는 ['항목'] 써줌
# {'math': 80, 'science': 90}
print(people[2]['score']['science'])
# 딕셔너리니까 ['항목']
# 90
728x90
반응형
'PYTHON > PYTHON 학습'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 요약 1 (print, 연산자, 비트연산, 슬라이스, 변환) (4) | 2025.05.15 |
---|---|
[연습] 파이썬 반복문 연습하기 (0) | 2025.04.30 |
파이썬 문법 기초 요약 4(map, filter, lambda식, 함수의 매개변수, 클래스) (1) | 2025.04.22 |
파이썬 문법 기초 요약 3(튜플, 집합, f-string, try-except, import, 한줄쓰기 ) (0) | 2025.04.22 |
파이썬 문법 기초 요약 2(조건문, 반복문, 함수) (0) | 2025.04.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