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두 수의 차 구하기
문제 정수 num1과 num2가 주어질 때, num1에서 num2를 뺀 값을 return하도록 soltuion 함수를 완성.
제한사항
-50000 ≤ num1 ≤ 50000
-50000 ≤ num2 ≤ 50000
def solution(num1, num2):
return num1 - num2
def solution(num1, num2):
answer = num1 - num2
return answer
★ 중요
입력값이 -50000에서 50000 사이이므로, 파이썬의 정수 연산으로 충분히 처리 가능, 특별 예외처리 필요 없음
return 두 정수 num1과 num2를 입력받아, num1 - num2의 결과를 반환 (뺄셈 연산자 그대로 사용)
2. 두 수의 곱 구하기
문제 정수 num1, num2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num1을 num2로 나눈 몫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
제한사항
0 ≤ num1 ≤ 100
0 ≤ num2 ≤ 100
def solution(num1, num2):
return num1 * num2
def solution(num1, num2):
answer = num1 * num2
return answer
★ 중요
* 연산자는 파이썬에서 나눗셈의 곱 구할 때 사용하는 연산자
입력값이 0보다 크기 때문에 0으로 나누는 예외는 발생하지 않음
return 두 정수 num1과 num2를 입력받아, num1 * num2의 결과를 반환 (뺄셈 연산자 그대로 사용)
3. 두 수의 몫 구하기
문제 정수 num1, num2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num1을 num2로 나눈 몫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
제한사항
0 ≤ num1 ≤ 100
0 ≤ num2 ≤ 100
def solution(num1, num2):
return num1 // num2
def solution(num1, num2):
answer = num1 // num2
return answer
★ 중요
// 연산자는 파이썬에서 나눗셈의 몫을 구할 때 사용하는 연산자
입력값이 0보다 크기 때문에 0으로 나누는 예외는 발생하지 않음
return 두 정수 num1과 num2를 입력받아, num1 // num2의 결과를 반환 (뺄셈 연산자 그대로 사용)
4. 나이 출력
문제 머쓱이는 선생님이 몇 년도에 태어났는지 궁금해졌습니다. 2022년 기준 선생님의 나이 age가 주어질 때, 선생님의 출생 연도를 return 하는 solution 함수를 완성
제한사항
0 < age <= 120
나이는 태어난 연도에 1살, 매년 1월 1일마다 1살씩 증가
def solution(age):
answer = 2022 - age + 1
return answer
def solution(age):
year = 2022
answer = year - age + 1
return answer
★ 중요
문제에서는 다른 변수 (year)의 이용을 허용하지 않아 두번째 정답은 오류 처리 됨
5. 숫자 비교하기
문제 정수 num1과 num2가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두 수가 같으면 1 다르면 -1을 retrun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
제한사항
0 <= num1 <= 10000
0 <= num2 <= 10000
def solution(num1, num2):
if num1 == num2:
return 1
elif num1 != num2:
return -1
★ 중요
def solution(num1, num2):
if num1 == num2: → TAB / " : " 추가하기
return 값 → TABTAB / " : " 추가하기 / print아니라 return임
★ 함수정의(Declaration)와 용어 설명
1. 함수 정의 : Def 사용
- Def : 함수 정의할 때 쓰는 키워드
- solution : 함수의 이름(함수명)
- num1, num2 : 함수의 매개변수(parameter)
= 함수 정의할 때 괄호 안에 적는 변수들
= 함수 내부에서 사용할 값을 함수 외부로부터 전달받기 위한 이름표
2. 함수 호출(call)과 인자(Argument)
. 호출은 아래와 같음
result = solution(11, 11)
- result = 변수
- solution = (앞에 정의한) 함수명
- 11 = 인자 = 함수 호출 시 실제로 전달하는 값
'PYTHON > PYTHON 문제풀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 26-30. (2) | 2025.06.02 |
---|---|
파이썬 21-25. (0) | 2025.05.30 |
파이썬 16-20. (0) | 2025.05.29 |
파이썬 11-15. (0) | 2025.05.28 |
파이썬 6-10. (0) | 2025.05.27 |